✅ 스타트업이 노션을 사용하는 법
혹시 여러분의 회사에서 노션을 활용하고 있지 않나요?
노션은 편리하고 업무 공유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실 회사에 새로운 툴을 도입하는 일을 쉽지 않습니다. 익숙해지고 습관화되고 업무에 긍정적 임팩트를 형성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질 때 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마련이죠.
미국의 한 스타트업인 코파(Kopa)또한, 회사에 노션을 도입하기 전 같은 고민을 거쳐왔습니다. 특히 100% 재택근무로 운영되는 회사인 만큼 문서의 정리와 공유가 매우 중요했고, 그래서 새로운 툴을 도입하는 것에 두려움이 매우 컸죠.
하지만 노션을 도입한 이후 매우 긍정적인 변화를 겪었고 데이터베이스화(Databaseify), 템플릿화(Templateify) 그리고 위키화(Wikify)라는 3가지 활용 방식을 적용하여 노션을 비즈니스에 잘 적용시켰습니다.
과연 이 3가지 활용 방식은 무엇이고 이 회사는 어떤 고민을 거쳐 노션을 도입하게 되었는지 아래 아티클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 프로덕트 로드맵 vs 백로그, 비즈니스에 어떻게 활용할까?
기업이 계획대로 프로덕트를 개발하고 시장에 성공적으로 출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두 가지 중요한 도구를 소개합니다. 바로 ‘프로덕트 백로그’와 ‘프로덕트 로드맵’입니다.
이 두 용어는 회사에 따라 비슷한 의미로 쓰일 수도 있고 이런 용어가 낯선 사람이라면 비슷한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발 프로세스 내에서 각각 고유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곤 하죠.
이번 아티클에서는 이러한 백로그와 로드맵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둘의 미묘한 차이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우수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어떻게 사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야 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2023년, 궁극의 B2B 세일즈 가이드 9가지
여러분은 세일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많은 사람이 세일즈 상황에서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징, 가격, 주요 혜택에 집중하곤 합니다.
그러나 B2B 세일즈의 진짜 핵심은 어디에 있을까요? 바로 ‘고객과의 연결’입니다.
또한, 이전과 달라진 B2B 세일즈에 대한 개념도 놓치면 안되겠죠? HubSpot의 연구에 따르면 고객은 디지털 채널을 통해 세일즈하길 원하고 영업 사원은 제한된 시간을 최대한 활용해야 합니다.
또한 B2B 잠재 고객은 세일즈팀보다 마케팅 콘텐츠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곤 합니다.
어쩌면 두루뭉술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이 요소들을 어떻게 하면 확실하게 세일즈 전략에 포함시킬 수 있을까요?
이번 아티클에서는 2023년을 살아가는 우리가 B2B 세일즈 전략을 구상할 때 참고해야 하는 9가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무자 역량 강화 플랫폼, '그로우앤베터'